썸네일 [Kubernetes]쿠버네티스 설치와 클러스터(cluster) | mac os 기준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합니다. 클러스터란(cluster) control plane과 node들의 집합니다. 즉, 쿠버네티스 운영의 가장 큰 단위입니다. 클러스터 구성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는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제어영역의 Control Plane (Master Node) - 제어영역이라고도 불리우며 클러스터의 관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 상태 관리 및 명령어 처리를 합니다. 제어 영역은 위 사진에서 (Ctrl Plane - 1,2...n 부분) 마스터 노드가 1개부터 n개 (보통 홀수개)로 구성 됩니다. 각각의 마스터 노드가 etcd, controller manager, s..
썸네일 [docker]도커(docker) 설치하기, docker desktop 도커(docker) 설치하기 (mac os 기준) 들어가기 앞서, macOS에서는 Homebre를 통해 Docker for Desktop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Docker for Desktop에서는 docker와 docker-compos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커를 설치 후 실행해보면, 이런 고래놈 녀석이 등장합니다. 또한 docker desktop을 설치하면, dashboard를 통해 gui를 제어할 수있습니다. Dashboard를 눌러봅시다 (오른쪽 사진에서) 그럼 왼쪽 사진과 같은 gui창이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쿠버네티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Docker와Kubernetes]도커(docker), 쿠버네티스란(kubernetes) 비교 도커와 쿠버네티스 비교 예시 컨테이너를 하나만 띄워서 사용해야지! => 도커 0월 0시에, 100개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생성해야지! => 쿠버네티스 즉, 도커는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띄우고 실행하는 기술’이고 쿠버네티스는 '도커를 관리하는 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도커는 '한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데 최적화 되어있고, 쿠버네티스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서비스 단위로 관리’하는 데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도커(docker)란?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입니다. 그렇다면, 컨테이너란 무엇일까요?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환경’을, ‘Host OS’ 로부터 격리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컨테이너는 보통 마이크로서비스로 사용됩니다.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