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62 [Spring-boot]스프링시큐리티+OAuth2 소셜로그인 (3) 구글(Google) 1. 구글 디펠로퍼 콘솔에 접속해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2.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정보를 작성합니다. 3. 왼쪽 사이드바의 사용자 인증 정보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 OAuth2 클라이언트 ID 를 클릭합니다. 4. OAuth 클라이언트 ID 만들기 창에서 동의 화면 구성을 클릭합니다. 5. OAuth 동의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6. 애플리케이션 유형 중 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다음 아래와 같이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승인된 리디렉션 URI (URI는 URL이 아닙니다. URI가 상위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ex)URI는 URL,URN의 상위 개념입니다. URI는 동물이라고 비유하면 URL(강아지), URN(다람쥐)라고 생각.. 2020. 2. 11. [Spring-boot]스프링시큐리티+OAuth2 인증 (2) | OAuth2란? -OAuth의2는 OAuth의1의 유저의 인증플로우, 전반적인 목적만 공유하고 OAuth의1.0을 새로 작성한것입니다. -OAuth의1.0과 OAuth의2.0의 차이는 앱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등의 인증방식을 강화하고 Consumer에 개발 간소화를 중심으로 개발 되었습니다. | OAuth의1.0 과 OAuth의2.0차이점 -인증 절차 간소화 됨으로써 개발자들이 구현하기 더쉬워졌고, 기존에 사용하던 용어도 바뀌면서 Authorizaiton server와 Resource서버의 분리가 명시적으로 되었고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인증 절차 간소화 기능의 단순화, 기능과 규모의 확장성 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기존의 OAuth1.0은 디.. 2020. 2. 11. [Spring-boot]스프링시큐리티+OAuth1 인증 (1) | 스프링 부트 시큐리티 -시큐리티 사용을 앞서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동작에 관하여 허락(인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절차 웹사이트 로그인을 인증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인증은 '증명하다'라는 의미로 예를 들어, 유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는 과정 을 말합니다. 권한부여(Authorization)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특정 자원이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허용하는 것 예를 들어 A는 VIP 회원이고, B는 일반 회원이라면 두 회원의 권한이 다르게 부여됩니다. -인가는 '권한부여'나 '허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어떤.. 2020. 2. 11. [Spring]@Transactional이란? 먼저, 트랜젝션의 성질은 다음과 같이 ACID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처기에서 암기한 기억이..) | 트랜잭션의 성질 1.원자성(Atomicity) - 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하나로 간주. 즉, 모두 성공 또는 모두 실패. 즉, 여러번의 CRUD작업이 일어나면서 에러가 발생해도 데이터의 정합성을 지켜야 할 때가 있다. 2.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은 일관성 있는 데이타베이스 상태를 유지한다. (data integrity 만족 등.) 3.격리성(Isolation)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격리해야한다. 4.지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결과가 항상 저장되어야 한다. | 스프링에서 트랜잭션 처리 방법 -스프링에.. 2020. 2. 10. [Spring]GET,POST,PUT,DELE란?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GET - 조회 (select) POST - 등록(insert) PUT - 수정(update) DELETE - 삭제(delete) 와 같다. 먼저, 전체적인 메소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TTP 메소드 정리 HTTP Method 전송형태 설명 GET GET [request-uri]?query_string HTTP/1.1 Host:[Hostname] 혹은 [IP] 요청받은 URI의 정보를 검색하여 응답한다. HEAD HEAD [request-uri] HTTP/1.1 Host:[Hostname] 혹은 [IP] GET방식과 동일하지만, 응답에 BODY가 없고 응답코드와 HEAD만 응답한다. 웹서버 정보확인, 헬스체크, 버젼확인, 최종 수정일자 확인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POST POST.. 2020. 2. 10. [Springboot]JPA란? |등장 웹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다 보면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일 입니다. MyBatis와 같은 SQL mapper를 이용하여 쿼리를 작성한다면 ,실제로, 개발하는 시간보다 SQL을 다루는 시간이 더 많았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JPA라는 자바 표준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 등장합니다. *MyBatis , iBatis는 ORM이 아닙니다 (SQL Mapper입니다.) (SQL Mapper는 쿼리를 매핑합니다.) *ORM은 객체를 매핑하는 것입니다. |소개 웹 애플리케이션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 , RelationalDatabase)는 빠질 수 없는 요소입니다. 중요한것은 객체를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020. 2. 6. 이전 1 2 3 4 5 6 7 8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