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3

[golang]Go언어 구조체란? | 고언어의 구조체란? -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변수를 묶어서 새로운 자료형을 정의하는 Custom data type'입니다 - 필드들의 집하체이며 필드들의 컨테이너입니다. 헷갈리죠 ? 예를들어, "상품"이라는 정보를 저장한다고 생각해봅시다.상품중에서도 냉장고를 저장한다고 하면, 냉장고 품명,바코드번호 등이 있습니다.그래서 냉장고를 추가할 때 마다 냉장고의 정보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이라는 구조체 안에 묶어서 저장합니다. 즉, '정보의 집합'입니다. 하지만, Go언어는 객체 지향을 따릅니다.java에서 객체지향은 class,상속 등의 개념이 존재하는데Go언어에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중요 객체지향의 class가 filed와 method를 함께 갖는 것과는 다르게 Go언어의 구조.. 2021. 7. 18.
[golang]Go언어 포인터(pointer)란 이번에는 pointer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인터하면 C언어부터 떠오르죠 .. 네 C언어의 꽃 pointer부터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나 포함 그 pointer를 다시 배우러 갑니다.... | 포인터 (pointer)란? 2021. 7. 5.
[golang]Go언어 Map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에는 Map에 대해 알아봅시다 ! 타 언어 ex) java 같은 경우에는 hash, linked ... 기타 등등 Map이 존재한다. 역시 Go 에서도 Map을 pakage에서 제공한다 ! 살펴보자 | MAP 특징 -Hashtable, 딕셔너리(파이썬), Key - Value 로 자료 저장 -레퍼런스 타입(참조 값 전달)이다. -비교 연사자 사용 불가능 ( 참조 Type 이므로) -참조 Type(key)로 사용 불가능, 값(Value)으로 모든 타입 사용가능하다. -make 함수 및 축약(리터럴)로 초기화 가능 -순서 없음 ( 주의 실행할 때 마다 값이 바뀝니다,) 문법 //기본 값 key : string(""), value : int (0) var map1 map[string]int = make(m.. 2021. 7. 5.
[golang]고언어 정렬(sort)과 복사(copy) | Go언어 정렬 Go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정렬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sort 를 import 하여 사용합니다. Int 정렬 sort.IntsAreSorted(slice2) : (int) 정렬 확인 return : boolean sort.Ints : int형 배열 정렬 package main import ( "fmt" "sort" ) func main() { sliceInt := []int{1, 2, 5, 4, 6, 3} //int형 정렬 (오름차순) fmt.Println(sort.IntsAreSorted(sliceInt)) sort.Ints(sliceInt) fmt.Println((sliceInt)) //string형 정렬 (오름차순) } 결과 String 정렬 sort.StringAreSorted(st.. 2021. 7. 4.
[golang]슬라이스(slice)란? 앞에서 설명한 배열과 슬라이스의 관계에 대해 배열을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슬라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슬라이스 특징 - 배열과 비슷하지만 길이가 고정적 X - 즉, 동적으로 크기가 늘어난다 (가변적) - 참조 값 타입이다 (레퍼런스 타입) - 슬라이스는 두 가지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 slice는 web data를 가져올 때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1. slice 선언 방법 package main func main(){ //case1 배열처럼 선언 var slice []int slice2 := []int{} //가변형 slice3 := []int{1,2,3,4,5}//길이 :5 용량 :5 slice4 := [][]int{ {1,2,3,4,5} ,{6,7,8,9,10} } //slice 수정 sl.. 2021. 7. 4.
[golang]Golang 배열(Array) 다루기 | Go언어 배열(Array) 배열과 slice의 관계 - 배열은 용량, 길이 항상 같다 - 배열 vs 슬라이스의 차이점을 알아야한다 - 길이고정 vs 길이가변 - 값 type vs 참조 type - 복사 전달 vs 참조 값 전달 - 전체 비교연산자 사용가능 vs 비교 연산자 사용 불가 - 대부분 슬라이스를 사용한다 - 대표적으로 cap() & len() 메서드가 존재한다 cap : 배열, 슬라이스 용량 len : 배열, 슬라이스 개수 - 참고 사이트 더보기 Go Slices: usage and internals - The Go Blog Andrew Gerrand 5 January 2011 Introduction Go's slice type provides a convenient and efficient.. 2021.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