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3

[AWS]CLI 보안자격 증명 설정하는 방법 CLI 사용법 | AWS CLI 자격증명 설정 우선순위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방법은 Bold(두껍게)처리 했습니다. 1.CLI 명령어 옵션 2.환경변수 3.CLI 자격증명 파일 - ~/.aws/credentials 4.CLI 설정 파일 - ~/.aws/config 5.컨테이너 자격증명 (ECS의 경우) 6.인스턴스 프로파일 자격 증명 (EC2의 경우) 이 중 1,2,4,6번의 방법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1번 방법 CLI 명령어 옵션을 통한 설정파일 설정 방법. 2번 방법인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AWS_ACCESS_KEY_ID, AWS_SECRET_ACCESS_KEY를 설정하는 방법과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 프로파일 (AWS_PROFILE)을 설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ACCESS_KEY 기본적으로 .. 2022. 2. 24.
[Terraform]테라폼(terraform) workspace란? (Feat.프로바이더 사용용해보기) 테라폼 워크스페이스(Work space)란? 이번 포스팅은 워크스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크스페이스는 하나의 프로젝트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테라폼은 코드를 관리할 때 변경 상태에 대한 추적이 가능합니다. 이것을 추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state를 관리하게 되는데 . terraform.tfstate라는 파일이 이 있습니다. 이 파일은 workspace 단위로 생성이 됩니다. workspace가 상태를 관리하는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먼저 workspace로 사용할 디렉터리를 만들어봅시다. mkdir 명령어를 통하여 폴더를 만들어 줍시다. 단일 파일로 관리할 때 main.tf라는 이름으로 관리를 합니다. 각자의 선호도에 맞게 intellij IDE OR Vscode OR 터미널(vim.. 2022. 2. 23.
[AWS]테라폼(Terraform) 설치 및 캐시 설정(feat. packer, ansible) | 테라폼 설치하기 https://learn.hashicorp.com/tutorials/terraform/install-cli?in=terraform/aws-get-started 1.brew tap 명령어 복사 후 실행 2.brew install 실행 테라폼 자동완성 설치 zshrc 파일 확인 cat ~/ .zshrc 그럼 zsh 재시작을 위해 zsh 입력 후 terraform을 입력 후 tab을 눌러보면 밑에 명령어들이 자동으로 확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테라폼 캐시(cache) 설정 https://www.terraform.io/cli/config/config-file 테라폼 설정 중 위와 같은 설정 옵션이 존재하는데 해당 옵션을 설정해주기 위하여 파일 안에 해당 내용을 입력해주자. 그 후 이제 pl.. 2022. 2. 22.
[AWS]IaC(Infrastructure as Code)란? IaC(Infrastructure as Code) - 네트워크, 로드밸런서, 저장소, 서버 등의 인프라 자원을 수동 설정이 아닌 코드를 이용하여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는 것. - 대표적인 IaC 도구로 테라폼(Terraform) 이 외 CloudFormation, Pulumi, Azure ARM Template)가 있다. 형상관리 (Confuguration Management) - 서버 운영체제 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피하고 원하는 설정으로 관리하는 것. - Configuration as Code 라고 불림 - 대포적인 관리 도구(Ansible, Puppet, Chef, Salt Stack 등) 이미지 빌드(Image Build) - 사진과 같은 것들이 절대 아닙니다~! ( ec2 or 머신들이 디스크.. 2022. 2. 22.
[Kubernetes]쿠버네티스 설치와 클러스터(cluster) | mac os 기준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합니다. 클러스터란(cluster) control plane과 node들의 집합니다. 즉, 쿠버네티스 운영의 가장 큰 단위입니다. 클러스터 구성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는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제어영역의 Control Plane (Master Node) - 제어영역이라고도 불리우며 클러스터의 관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 상태 관리 및 명령어 처리를 합니다. 제어 영역은 위 사진에서 (Ctrl Plane - 1,2...n 부분) 마스터 노드가 1개부터 n개 (보통 홀수개)로 구성 됩니다. 각각의 마스터 노드가 etcd, controller manager, s.. 2022. 2. 18.
[docker]도커(docker) 설치하기, docker desktop 도커(docker) 설치하기 (mac os 기준) 들어가기 앞서, macOS에서는 Homebre를 통해 Docker for Desktop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Docker for Desktop에서는 docker와 docker-compos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도커를 설치 후 실행해보면, 이런 고래놈 녀석이 등장합니다. 또한 docker desktop을 설치하면, dashboard를 통해 gui를 제어할 수있습니다. Dashboard를 눌러봅시다 (오른쪽 사진에서) 그럼 왼쪽 사진과 같은 gui창이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쿠버네티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 2. 18.